정헬스

마누카 꿀 등급 UMF ™, MGO, K FACTOR,NPA 및 고르는 법 본문

건강 관리

마누카 꿀 등급 UMF ™, MGO, K FACTOR,NPA 및 고르는 법

/.']e][/'=\/ 2023. 6. 20. 15:50
반응형

마누카 꿀 구매 시 병을 보게 되면 UMF ™, MGO마크 외 여러 마크가 보이실 텐데요 이 마크는 우리나라 ks마크처럼 뉴질랜드 정부, 꿀벌 협회(UMFHA)나 제조회사에서 만든 인증 마크입니다. 예전 가짜 마누카 꿀 소동이 있은 후 마누카 꿀의 품질을 보증하기 위해 만들어놓은 등급 제도인데요 마누카 꿀병에 있는 마크들을 하나씩 살펴보도록 할게요.

마누카 꿀

1. 마누카 꿀 MGO

MGO는 메틸글리옥살 성분의 약자로 이 성분은 마누카 꿀에 다른 꿀보다 100배 많게 들어 있습니다. 또한 메틸글리옥살 성분은 마누카 꿀의 항균 효능을 대표하지요. MGO옆의 숫자는 메틸글리옥살의 성분이 얼마큼 들어 있는지를 나타내 줍니다.

 

만일 MGO150이라면 1kg 중 메티글리옥살 성분이 100mg이 들어 있다는 뜻인데요  100~150상이면 항균 효과를 보기에 충분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2. 마누카 꿀 UMF ™ 등급

병에 이 마크가 있다면 두 가지가 인증되었음을 나타내 줍니다. 하나는 이 제품이 정품 마누카 꿀임을 나타내 주는 것이고 또 하나는 마누카 꿀이 갖고 있는 화학물질인 DHA, HMF, 렙토스페린의 상태가 어떤지를 나타내 주는 것입니다. 뉴질랜드에서 마누카 꿀이라는 상표를 달기 위해서는 이 UMF 인증을 받아야 합니다. 

 

그럼 DHA는 무엇이며 왜 이 성분의 함량 차이가  등급의 기준이 될까요?

꿀

DHA는 마누카 꽃 과즙 속의 성분으로 이는 벌통으로 옮긴 뒤 꿀로 변신하는 과정에서 MGO로 변화됩니다. DHA 자체는 항균활성이 없어서 MGO로 바뀌어야 항균 효능을 갖는데요 꿀을 채취하고 나서 병에 담긴 후로도 약 1년 정도 변화한다고 해요.

 

뉴질랜드 정부는 마누카 꿀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DHA와 MGO성분이 모두 들어 있도록 지침을 내리고 있는데요 왜일까요?  MGO가 마누카 꿀에서 가장 중요한 인자인데 이러한 MGO 농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되면서 그 걸 대체하기 위한 방편으로 DHA성분이 꼭 필요해서입니다.

 

그래서  UMF ™의 등급이 높을수록 DHA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면 저장을 오랫동안 해도 항균효과가 있게 되고 유통기한이 길어지게 됩니다. 빠른 시일 내로 꿀을 소비하실 분이시라면  굳이 높은 등급의 마누카 꿀이 아니어도 항균 효과를 보실 수 있습니다.

 

HMF는 왜 등급을 나누는 기준이 될까요?

꿀 속 포도당과 과당은 시간이 지나면서 HMF라는 물질로 변화합니다. 꿀은 썩지는 않지만 꿀 내부에서는 많은 화학 변화가 일어나지요. 이러한 HMF는  적정한 농도에서는 항염,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내지만 일정 농도 수치를 넘어서면 HMF 독성을 갖게 되는데요 21~50도에서 반응이 커서 이때 많이 변화합니다.

 

국제식품규격위원회에서는 40mg /kg 이하를 적정한 수치로 권하고 있고  신선한 꿀 같은 경우 HMF 수치는 10mg 이하입니다. 그런데 꿀을 채취하는 계절이 여름이고 벌통 온도는 40도까지 올라갑니다. 또한 평소 꿀을 가열하거나 보관을 잘 못하게 되면 이 성분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UMF ™등급 표시 중 HMF가 <40 mg /kg라는 것은 마누카 꿀이 안전하다는 것을 말해줍니다. 다만 이렇게 등급 표시가 있어도 꿀은 자연적으로 시간이 갈수록 HMF의 함량이 늘어나는데요 그래서 숫자가 작은 것을 구매하시거나 빠른 시일 내에 이용해 버리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꿀을 20도 밑의 서늘한 곳에서 보관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UMF ™ 등급 속 렙토스페린

렙토스페린은 마누카 꿀만이 갖는 독특한 식물 화학 물질로 이 화합물이 들어 있는지 없는지 마커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그래서 진위여부를 판단하게 됩니다. 꿀병에 UMF ™ 마크가 있다는 것은 이러한 테스트에 합격되었다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진짜 마누카 꿀 정품임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물질은 항염, 항균 작용을 하며 마누카 꿀의 항균 능력을 높여줍니다.

 UMF ™ 등급 MGO 렙토스페린 DHA HMF
UMF 5+   83  100  150 <40 mg /kg
UMF 10+   261  150  250 <40 mg /kg
UMF 15+   512  200  400 <40 mg /kg
UMF 20+   826  200  500 <40 mg /kg
UMF 25+  1197  200  500 <40 mg /kg

 

3.k factor

마누카 꽃

 

위의 등급들이 뉴질랜드 마누카 꿀 협회에서 만든 등급이라면 K factor는 뉴질랜드 정부(우리나라 식약청과 비슷)에서 인증한 등급으로 마누카 꽃가루가 얼마큼 들어 있는지 나타내줍니다. 호주 웨더스푼이란 회사에서 나타내는 등급이기도 해요.

 

벌이 과즙을 빨아들일 때 꽃가루도 같이 들어가게 되는데요 k factor 22는 정통 마누카 꽃 과즙이 90%를 차지해 렙토스페린처럼 거의 순수 마누카 꽃에서만 나온 꿀임을 입증해 줍니다. 그리고 16은 75%, 그 이하는 다른 꽃 과즙도 섞여서 들어 있음을 나타냅니다. 

 

4.NPA

꿀은 낮은 ph, 물이 거의 없는 특징과 투명한 거품 나는 소독약이라고 알려진 과산화수소에 의해 항균 효과가 나타납니다. 여기서 NPA값은  이러한 과산화수소를 없앴을 때 나머지 물질이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양을 따로 측정해 낸 값인데요 주로 MGO 덕분에 그 값이 나타나게 됩니다.

 

다만 모든 마누카 꿀에 이러한 NPA 값이 나타나는 게 아니라고 해요. 그리고 NPA값이 나타난다면 NPA값과 MGO값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어서  NPA가 10+인 것은 MGO가 약 263mg 정도 들어 있다고 합니다.

 

이상 마누카 꿀 등급을 알아보았는데 꿀을 제조하는 회사마다 내거는 등급제도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네요. 그리고 UMF ™ 등급이 높다는 것은 어떤 의미를 갖을까요? 그건 마누카 나무에서 나오는 마누카 꿀 정품임을 입증함과 동시에 오랫동안 항균 효과가 지속되고 안전한 꿀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참고문헌

Howse, S (2019년 2월). DHA 및 MGO: 마누카 꿀에서 가장 일반적인 테스트. The New Zealand BeeKeeper, 27(1), 10‒13.

DHA, MG, and manuka honey activity By Megan Grainger, Ph.D. Student, The University of Waikato; Technologist, Analytica Laboratories

 

kakaoTalk naver band
Comments